120년 전 러일전쟁에서 탄생한 '러시아 정복 약' 정로환, 지금은 안전할까?

120년 전 러일전쟁에서 탄생한 '러시아 정복 약' 정로환, 안전성은?

천황 칙령으로 만들어진 설사약이 국민상비약 된 비하인드 스토리

 

러일전쟁 당시 만주 주둔 일본군의 집단 설사병으로 시작된 정로환의 탄생 배경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1904년 러시아와의 전쟁을 앞둔 일본이 천황 칙령까지 내려 개발한 이 약은 현재까지도 배탈·설사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본 다이코신약에서 개발해 '러시아를 정벌한다'는 의미로 명명된 정로환은 해방 후 한국에서도 생산되기 시작했다. 

러일전쟁 당시 만주 주둔 일본군의 집단 설사병으로 시작된 정로환의 탄생 배경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러일전쟁 당시 만주 주둔 일본군의 집단 설사병으로 시작된 정로환의 탄생 배경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만주 일본군 집단 설사병이 부른 천황의 긴급 명령

물갈이로 쓰러진 병사들, 전투력 약화 위기 초래

1904년 러일전쟁 발발 직전 만주에 주둔한 일본군에서 원인 모를 집단 사망 사건이 발생했다. 평소 건강하던 군인들이 특별한 질병 없이 잇따라 목숨을 잃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일본군 지휘부의 면밀한 조사 결과, 주범은 바로 설사였다. 만주 지역의 나쁜 수질과 물갈이로 인해 발생한 설사병이 일본군의 전투력을 심각하게 약화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이 상황을 보고받은 천황은 즉각 칙령을 내려 배탈·설사에 효과적인 약을 개발하도록 명령했다.

수천 가지 약품 중 선택된 다이코신약의 걸작

천황의 명령에 따라 일본 전국의 제약회사들이 수천 가지의 약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 중에서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인 것이 바로 다이코신약에서 만든 모쿠크레오소트(wood-tar creosote) 제제였다.

이 약을 복용한 일본 병사들은 설사병을 극복하고 러일전쟁에서 승리를 이끌어냈다. 러시아를 무찌른 약이라는 의미로 정복할 정(征), 로서아 로(露), 둥글환(丸) 한자를 사용해 '정로환(征露丸)'이라는 이름이 탄생했다.

군국주의 상징에서 국민상비약으로 변신한 역사

2차 대전 후 '국제적 신의'로 이름 변경

러시아를 정벌한다는 의미의 정로환은 일본 국민들 사이에서 국민약으로 사랑받았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일본 정부는 '국제적 신의상'이라는 이유를 내세워 정복할 정(征)자를 바를 정(正)자로 바꿔 정로환(正露丸)으로 개명했다.

그러나 일부 제약회사는 지금도 여전히 정복할 정(征)자를 고집하고 있으며, 바를 정(正)자로 바꾼다 해도 러시아 입장에서는 여전히 불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태평양전쟁 시절 '전몰기념환'으로까지 개명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시절 정로환은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도구로 활용됐다. 제약회사들은 광고에서 '육해군어용약'이라며 황군 위문품의 최적 약품이라고 선전했고, 상품명을 '전몰기념환'으로 바꾼 적도 있을 정도였다.

현재도 일본의 야스쿠니 신사에는 정로환이 버젓이 전시되어 있어 군국주의 상징으로서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시절 정로환은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도구로 활용됐다.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시절 정로환은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도구로 활용됐다.

한국 진출과 동성제약의 기술 확보 비화

1973년 국내 생산 시작, 기생방 접대로 기술 확보

해방 후 한반도에서는 정로환을 일본에서 계속 수입해서 사용해야 했다. 국내 생산이 시작된 것은 1973년 동성제약에 의해서였다.

동성제약 창업주 고 이선규 회장은 다이코신약의 전 공장장을 기생방 등에서 거나하게 대접해 약의 원료와 배합 비율 등의 비법을 얻어왔다는 야사가 전해질 정도로 국내 생산이 쉽지 않았다. 일본이 정로환 제조 기술 유출을 철저히 차단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도 배탈·설사 치료의 대표 의약품으로 활용

정로환은 방부살균 작용과 위장 기능 촉진에 효과가 있는 여러 생약제를 배합한 제제로 배탈·복통·설사 치료에 높은 효과를 보인다. 특히 특유의 냄새를 제거한 당의정이 개발되면서 복용이 더욱 편리해졌다.

방부살균 작용을 비롯한 진정, 진경, 지사, 구풍 작용 등을 통해 설사 등 장 질환 치료의 대표적인 의약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정로환은 방부살균 작용과 위장 기능 촉진에 효과가 있는 여러 생약제를 배합한 제제로 배탈·복통·설사 치료에 높은 효과를 보인다.
정로환은 방부살균 작용과 위장 기능 촉진에 효과가 있는 여러 생약제를 배합한 제제로 배탈·복통·설사 치료에 높은 효과를 보인다.

발암 가능 성분 논란

주성분 크레오소트에 암 유발 물질 포함

정로환의 주성분인 크레오소트는 목타르를 증류해 만든 목초액으로, 보통 나무의 방부제나 살충제로 사용된다. 크레오소트는 페놀이나 크레졸 같은 다양한 방향족 화합물이 섞여 있는 혼합물이다.

여기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크레졸이라는 성분이다. 크레졸은 암을 유발하는 독성 물질로 분류되어 있어 소비자들의 불안을 가중시켰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크레졸 성분을 뺀 정로환F를 생산하고 있으나, 크레졸의 유해성이 학술적으로 완전히 입증되지는 않아 일본에서는 지금도 오리지널 정로환이 나오고 있다.

대체 약물 등장으로 사용량 감소 추세

시대가 변하면서 배탈·설사 치료를 위한 다른 대체 약물들이 많이 개발되면서 정로환 사용량이 줄어들고 있다. 냄새를 가리기 위해 당의정 형태로 제조해 판매하고 있지만, 무좀, 탈모 등 근거 없는 민간요법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쉼터꽃방
쉼터꽃방

이 기사도 봐보세요

 

2025.06.06 - [뉴스칼럼] - 코카콜라는 모르핀 중독의 대체 치료제였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